핵심 요약
•
내신: 과목명과 편제에 다양한 변화가 생깁니다.
•
수능: 선택 과목이 폐지되고 공통 과목을 응시하게 됩니다.
◦
고1 공통 과목인 통합 과학이 수능에 출제됩니다.
내신 변경점
공통 과목
•
15 교육과정 공통 과목이었던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은 통합과학 1,2 와 과학탐구실험 1,2로 유지됩니다.
◦
통합과학은 1, 2로 나뉘면서 세부 단원이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새롭게 추가되는 단원의 학습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과학의 기초 : 시간과 길이 등을 측정하는 방법과 단위, 기본량 등에 대해 학습합니다.
▪
과학과 미래 사회 : 감염병, 인공지능, 과학 윤리 등에 대해 학습합니다.
선택 과목
•
각 선택 과목별 (재)도입 및 삭제, 이동하는 개념을 참고 바랍니다.
•
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일반 선택
•
◦
▪
정역학 단원 ‘돌림힘’ 개념이 물리학 II(15 과정)에서 물리학으로 이동합니다.
•
지난 과정과 달리 운동 분류 개념(속력 및 방향)은 삭제되고 기본적인 개념만 다루게 됩니다.
▪
물리학 I(15 과정)에 포함되었던 열역학 제 1 법칙은 역학과 에너지 과목으로 이동합니다.
◦
▪
‘전위차, 전류 및 전기 에너지’ 개념이 재도입됩니다.
▪
‘축전기’ 개념이 물리학 II(15 과정)에서 물리학으로 이동합니다.
◦
▪
‘파동’ 개념이 대부분 역학과 에너지 과목으로 이동합니다.
•
빛과 물질 단원에서는 파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만 학습합니다.
•
◦
◦
◦
▪
화학 II(15 과정) ‘화학 평형’ 개념 중 기본적인 개념이 도입됩니다.
◦
▪
물 농도 계산에 대한 개념이 도입됩니다.
•
◦
◦
◦
▪
생명과학 I(15 과정) ‘유전’ 개념이 대부분 ‘생물의 유전’ 과목으로 이동합니다.
•
◦
▪
엘리뇨, 라니냐 개념이 출판사에 따라 ‘엔소(ENSO)’ 또는 ‘남방진동’으로 표기됩니다.
◦
◦
▪
‘천구’ 개념이 삭제됩니다. 따라서 ‘지평 좌표계, 적도 좌표계’ 개념도 다루지 않습니다.
▪
일식/월식, 슈테판-볼츠만 법칙 등이 도입됩니다.
진로 선택
•
2015 교육 과정 진로 선택 과목(물리학 II, 화학 II, 생명과학 II, 지구과학 II)은
2022 교육 과정에서 각각 두 개의 과목씩 세분화되고 과목명이 변경됩니다.
•
◦
시공간과 운동
◦
열과 에너지
▪
열역학 과정 및 열역학 제 1, 2법칙이 물리학 I(15 과정)에서 이동합니다.
•
그에 따른 열전달, 열팽창, 열용량 등에 관한 관계식이 다수 포함됩니다.
▪
‘엔트로피’ 개념이 재도입됩니다.
◦
탄성파와 소리
•
◦
전자기적 상호작용
▪
로런츠 힘 개념이 재도입됩니다.
◦
빛과 정보 통신
▪
거울, 렌즈 작도 및 프리즘, 망원경 등 광학 기기에 대해 학습합니다.
▪
‘레이저’ 개념이 재도입됩니다.
◦
양자와 미시세계
▪
‘터널 효과’, ‘오비탈’ 개념 등에 대해 학습합니다.
•
◦
세포
▪
‘세포의 크기 측정하기’ 개념이 재도입됩니다.
◦
물질대사와 에너지
◦
세포호흡과 광합성
융합 선택
•
융합 선택 과목은 2015 교육 과정 진로 선택(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과학사)과 관련이 없는 과목입니다.
◦
‘과학의 역사와 문화’는 ‘과학사’와 겹치는 내용이 있으나 엄연히 다른 과목입니다.
◦
다른 두 과목도 이름은 비슷하지만 다른 과목으로 이해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