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 교육 과정, 학생 가이드

2022 개정 교육 과정이 궁금했던 학생들을 위해 콴다과외가 준비했어요!
고교학점제부터 통합형 수능까지, 많은 부분이 바뀌는 만큼 궁금한 부분도 많았을 텐데요.
콴다과외의 [2022 개정 교육 과정, 학생 가이드]를 통해 같이 알아봐요
 아래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으로 이동할 수 있어요!

1. 2022 개정 교육 과정이란?

대한민국의 11차 교육과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고교학점제를 통해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문·이과 통합형 교육을 도입합니다. 또한, 내신 등급제가 9등급에서 5등급으로 단순화되며, 절대평가와 상대평가가 병행됩니다. 이 교육과정은 2025년에 중, 고등 교육 과정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핵심 요약

고교학점제 시행
내신 9등급제 → 5등급제
문이과 구분없이 통합형 수능 도입
고1 공통 과목 수능 출제 (사회, 과학 모두 응시)
국어, 수학, 사회/과학/직업탐구 선택 과목 폐지

도입 시기

2025년 기준 중/고등학교에 입학하는 1학년 학생들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학습을 하게 됩니다.
 2025년 기준 고1=2009년생, 중1=2012년생
2025년 기준 중2~3 학생들은 기존 교육과정 그대로 중학교 과정을 마치고, 고등학교에 들어가면서 새로운 교육 과정으로 학습하게 됩니다.
2027년 시행되는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022 개정 교육 과정이 반영된 첫 시험입니다.
2025년 기준 고1(09년생) 학생들이 첫 수능 응시 학년이 됩니다.

2. 주요 변경 사항

1. 고교학점제 도입

고교학점제란?
학생이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교육부(2021)
다만, 고1 학생들은 선택과목과 상관없이 공통과목을 수강하게 됩니다.
2028학년도 수능(2027년 시행)부터 공통과목에 해당하는 통합사회, 통합과학, 한국사가 출제됩니다.
고1 과목이지만 수능에 출제되는 만큼 깊이있는 학습이 필요합니다.
출처: 교육부 홈페이지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선택과목이 더욱 다양하게 개편되었습니다.
각 과목별 선택과목의 세부 내용은 과목별 가이드를 참고해 주세요.
출처: 교육부 홈페이지

2. 내신 5등급제 도입

기존 교육과정에서 유지하던 내신 9등급제를 내신 5등급제로 개편합니다.
공정한 경쟁 체제를 유지함과 동시에 과도한 경쟁을 완화하기 위해, 절대평가(A~E) 등급과 상대평가(1~5) 등급을 병행하여 성적을 산출합니다.
사회, 과학 과목 중 융합선택 과목은 상대평가 등급이 산출되지 않습니다.
절대평가를 병행하기 때문에 논∙서술형 평가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교육부 홈페이지
9등급 → 5등급으로 바뀌면서 각 등급 비율에도 변화가 있습니다.
내신 5등급제의 누적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3. 통합형 수능 도입(2028학년도 수능)

2028학년도 수능부터 통합형, 융합형 수능이 도입됩니다. (2027년 시행)
선택 과목 체제를 유지하던 국어, 수학, 사회/과학/직업 탐구 영역이 공통 과목으로 변경됩니다.
사회/과학은 고1 공통 과목인 공통사회, 공통과학이 출제되며, 두 과목을 모두 응시해야 합니다.
각 과목별 세부 내용은 과목별 가이드를 확인해 주세요.
선택 과목이 사라지고 공통 과목이 출제되는 만큼 1등급에 대한 변별력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수능에서 심화 수학(기하, 미적분 II)가 사라지면서 특정 대학 학과에서는 내신에서 심화 수학(기하, 미적분 II) 수강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대학 진학과 학업을 위해서 내신과 수능에서 적합한 학습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내신 과목 선택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교육부 홈페이지

3. 각 과목별 세부 변경 사항

고등학생은 각 과목별 가이드를 확인해 주세요.
중학생은 [중등]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확인해 주세요.